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자동차 배터리 방전되었을때 대처 방법 Top3

by 더위 2022. 11. 1.

날씨가 쌀쌀해지면 부동액 등 차량 관리를 세심하게 살펴야 되는데요. 겨울이 되면 아무런 잘못을 하지 않았음에도 종종 차량 배터리가 방전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배터리의 전압은 12V이며, 스스로 조금씩 누전이 됩니다. 이런 누전 현상이 겨울이 되면 더 심해지기 때문에 전압이 낮아져 배터리 방전으로 시동이 걸리지 않게 되는것인데요.


자동차 배터리 방전 원인

 

1. 전조등


최근 출시되는 차들은 주위 조도에 따라 조명이 자동으로 점등 및 소등 되는 기능인 오토라이트 기능이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 전조등을 켜두고 내리는 경우가 있는데요. 특히 낮에 시동을 끄고 들어가는 날에는 전조등이 켜졌는지 꺼졌는지 확인이 잘 안돼 다음날 자동차 배터리가 방전되기 마련이니 자동차 계기판을 확인 하시고 아래 표시가 있으면 반드시 전조등을 끄고 내리시기 바랍니다.

2. 비상경고등


보통 깜박이라고 하는 비상경고등을 켜두고 시동을 끄는 경우가 있는데요. 깜박깜박 소리가 나는데 어떻게 모를수 있냐고 반문하시겠지만, 요즘에 나오는 차량의 비상경고등은 소음이 작기 때문에 알아차리기 어려운 경우가 있으며, 특히 급한일이 있을 경우에는 끄는 것을 깜박할 때가 많습니다. 저도 주차를 위해 비상경고등을 키고 주차를 한 후 끄지 않고 자리를 이탈해 차량의 배터리가 방전된 적이 있었습니다.

3. 겨울


서두에 언급한바와 같이 차량용 배터리의 누전은 추위가 심할수록 가속화 되는데요. 요즘 우리나라에서는 시베리아보다 춥다는 말이 나올정도로 한파가 지속된 적이 있습니다. 따라서 차량을 실내주차장에 주차하시어 추위로 인한 차량 배터리 방전에 대비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자동차 배터리 방전되었을 때 대처방법

 

1. 기어변속하기


사이드브레이크를 채우고, 시동을 걸기 전 상태(전기만 들어오는 상태)로 둡니다. 이때 계기판에 불이 들어온다면 약간의 희망은 있습니다. 그리고 브레이크를 밟고 기어를 조작해줍니다. P-R-N-D-2-1 이렇게 차례대로 변경을 몇번 해준뒤 시동을 걸어보시면, 간혹 걸릴 수도 있다고 합니다.

2. 뜨거운 수건 등으로 차량 배터리 온도 올리기


추운 겨울 자동차를 야외에 장시간 세워서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라면 한번 시도해볼 방법입니다. 자동차 배터리를 따뜻하게 하여 차량배터리가 정상작동되게 하는 방법인데요. 뜨거운 수건을 배터리 주위를 감싸 배터리의 온도를 올린 후 시동을 걸어보시기 바랍니다.

3. 긴급 출동 서비스 부르기


자신의 보험사로 연락하여 긴급출동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인데요. 자동차 보험 가입시 특약사항으로 긴급출동을 넣어두셨다면 무료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약 긴급출동 서비스를 보험특약으로 넣지 않으셨다면 또 하나 방법이 있습니다. 요즘은 기아나 현대 차량제조사에서 긴급서비스를 무료제공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제조사 고객센터에 연락해서 본인이 해당이 되는지 확인해보시고 이용해보셔도 좋습니다.
긴급출동 서비스로 배터리를 충전한 후 충분히 자동차를 운행하여 배터리를 충전하셔야 하고, 배터리 위 부분에 누수처럼 액이 흘렀다면 이것은 배터리의 수명이 다 한것으로 배터리 교체를 하셔야 합니다.

4. 배터리 점프 이용하기


배터리 점프를 이용할 경우 2가지 방법이 있는데 주위 차량의 배터리를 이용하는 방법과 시중에서 구매할 수 있는 휴대용 차량 점프 스타터를 이용하여 충전하실 수 있습니다. 이 때 집게를 배터리 단자에 연결하여야 하는데요. (+) 단자(빨간 단자)에는 빨간색 집게를 (-) 단자(검은색)에는 검은 집게를 연결하시면 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