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 국민은행 kb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과 금리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청년들의 목돈 마련을 위한 우대 정책입니다. 금리 혜택, 정부기여금 지원, 그리고 세제혜택까지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는 kb국민, 신한, 하나 은행 등 12개 은행이 있는데요. 오늘은 특히 이자율이 높다고 알려진 kb 국민은행 청년도약계좌 신청 방법에 대해서 더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청년이라면 이 혜택을 놓치지 말고 꼭 잡으시기 바랍니다.
목차
청년도약계좌란 ?
청년도약계좌란 청년의 목돈 마련을 위한 서민 지원 금융상품입니다. 총 납입기간은 5년이며 매월 70만원 한도로 납입할 수 있습니다. 1년 최대 납입액은 840만원입니다. 자신의 소득 수준과 납입 금액에 따라 세제혜택 및 추가 정부기여금까지 혜택이 주어집니다.
지원대상
- 나이
청년도약계좌기 때문에 청년들만 대상이 됩니다. 청년이란 나이가 19세 ~ 34세 이하인 분들을 말합니다. 물론 만나이입니다. 하지만 병역 이행기간이 있다면 연령계산시 빼고 계산을 합니다. 즉 내가 만 2년 군복무를 했다면 만 36세까지 가입을 할 수 있습니다. 인정되어서 공제되는 병역기간은 최대 6년입니다.
- 개인소득
직전 과세기간 총 급여액이 7,500만원 이하이며,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금익이 6,300만원 이하여야 합니다. 총급여액은 뭐고 종합소득과세표준은 뭐냐 ? 라고 하실텐데요. 총급여액은 직장인을 말합니다. 자신이 직장인이라면 본인의 연봉이 7,500만원 이상일 경우 지원 가능합니다.
육아휴직급여를 받거나 육아휴직수당을 받는 경우에도 지원 가능합니다. 종합소득과세표준은 직장 급여 이와 다른 소득이 있는 경우인데요. 개인 소득은 근로소득, 사업소득, 이자소득, 배당소득, 기타소득 등 다양하게 구분됩니다. 이런 소득들을 합산하여 계산한 것이 종합소득인데요. 이 종합소득금액이 6,300만원 이하여야 신청가능합니다.
- 가구소득
가구원 수에 따라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에 해당되는 가구만 지원 대상입니다. 청년인 당사자는 소득이 없지만 부모님이 엄청난 소득을 벌고 있는 가구를 가려내겠다는 것입니다. 본인의 가구원 구성원의 총소득액이 중위소득 180% 이하라면 신청가능합니다.
이 3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지원 대상이 됩니다. 단,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는 신청할 수 없습니다.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는 이미 이자소득 및 배당소득이 상당한 수준이기 때문에 서민 지원정책과는 맞지 않습니다.
지원내용
60개월 만기 5년인 금융상품입니다. 최대 월 70만원까지 납입이 가능합니다. 납입금액은 천원에서 70만원까지 자유롭게 월 납입할 수 있습니다.
- 정부지원금
납입금액의 일정 비율만큼 정부에서 지원금을 추가로 지급합니다. 소득금액과 납입금액에 따라 지원금 지급율은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최대 6%까지 매월 지원금을 지급합니다.
- 이자소득 비과세
예금, 적금 등 이자가 높은 상품은 이자에 대한 소득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하지만 청년도약계좌는 이자에 대한 세금이 비과세이기 때문에 다른 고금리 적금상품보다 수익이 높습니다.
- 높은 이율
시중금리보다 높은 이자율을 지급합니다. 3년 고정 + 2년 변동으로 이자율이 책정됩니다. 물론 이자율이 취급은행마다 다르긴 하지만 전체적으로 이자율이 높은 편입니다. 또한 소득 수준에 따라 저소득층 청년은 추가 우대금리도 제공됩니다. kb 국민 청년도약계좌 금리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2024 청년도약계좌 달라지는 사항
kb 국민은행 kb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
kb 국민은행 kb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은 온라인 신청과 오프라인 신청이 있습니다. 온라인 신청은 kb 국민은행 어플을 통하여 신청합니다. 오프라인 신청은 kb은행 홈페이지에서 사전 영업점 방문예약을 통해 하시면 편하게 하실 수 있습니다.
어플로 청년도약계좌 신청을 하면 심사를 거쳐 계좌가 개설됩니다. 심사는 서민금융진흥원에서 하며 나이 및 개인 소득 등을 지원대상인지 심사합니다.
- kb 국민은행 앱을 설치하고 가입 신청을 한다. 가입신청은 매월 진행되며 신청기간은 매월 2주간 신청을 받습니다.
- 은행에서 서민금융진흥원으로 대상 확인 요청
- 서민금융진흥원에서 확인 결과 통보
- 계좌개설 및 안내
kb 국민 청년도약계좌 금리
청년도약계좌 금리는 취급은행별로 차이가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취급 은행은 sc제일,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기업, 부산, 대구, 광주, 전북, 경남은행 등이 있습니다. 각 은행별 금리비교는 은행연합회 홉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3년 고정 기본금리 : 연 4.5%
- 소득 우대금리 : 0.5%
(총 급여 2,400만원 이하 청년) - 적금 담보 대출 이용시 추가 가산금리 : 가입적금의 95%만큼 대출 가능 (kb국민은행이 가장 높은 수준)
- 만기일시상환대출 : 1.25%
- 한도대출 : 1.75%
- 추가 우대금리(최대 1.0%)
- 급여이체 : 0.6%
- 자동이체 : 0.3%
- 거래감사 : 0.1%
마치며
kb 국민은행 kb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과 금리 등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신청방법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방법이 있습니다. 신청은 매월 접수를 받고 매월 첫째 ~ 둘째 주까지 신청 접수를 받습니다. 금리는 소득 수준과 적금 대출 유무 그리고 추가 우대금리에 따라 최저 4.5%에서 최고 6.5%까지 가능합니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권은비 마사지기 스파알 포터블 마사지기 관련주 HLB글로벌 (0) | 2024.02.09 |
---|---|
중소기업 정책자금 대출 신청 조건 금리 쉽게 정리해 드립니다 (1) | 2024.01.10 |
신한 쏠페이 장점 신한 포인트 쌓는 방법 4가지 (0) | 2024.01.08 |
신생아 특례대출 평수는 얼마나 되나요 ? (0) | 2024.01.03 |
신생아 특례대출 조건, 대출한도, 대출금리 국토교통부 자료 총정리 (0) | 2024.01.03 |
댓글